본문 바로가기
주식종목

셀트리온제약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합병)

by 중용이 2022. 8. 4.
반응형

셀트리온제약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제약 바이오 종목입니다. 코스닥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권 종목으로 복제약(generic drug)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테마 종목으로 분류되어 있었습니다.

[주요 목차] 

1. 기업 주요 정보
  가. 사업 개요
  나.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다. 기타 기업 정보
2. 관련 테마
3. 기업 주요 재무지표 
4. 기업 주요 뉴스 키워드
5. 기업 주가 차트, 시세, 지분 현황
6. 미상환 전환사채 현황
7. 증권사별 주가 전망
8. 기타 주요 내용

 

1. 기업 분석

 

  가. 사업 개요

회사는 KGMP(Korea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미국 cGMP 및 유럽 EU-GMP 적격업체로 충북 진천과 오창에 생산시설 및 품질 관리시설을 갖추고 정제, 경질캡슐제 등 약 40여 개의 전문의약품(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이 필요)을 생산하고 있음.

회사의 주력제품은 고덱스 캡슐로서 기존의 간장용제인 헤파디프와 DDB제재의 효과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는 최적의 배합비율을 찾아 동물효력시험과 2상 및 3상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개발한 이후 명실상부한 제약업계의 블록버스터로서의 입지를 구축함.

특히 모회사인 주식회사 셀트리온에서 개발·생산하고 있는 바이오시밀러의 국내 독점판매권을 보유, 기존 케미컬 의약품과의 시너지 확대를 통한 시장지배력을 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현재 판매 중인 바이오시밀러로는 램시마주(인플릭시맵), 트룩시마주(리툭시맙), 허쥬마주(트라스투즈맙) 및 유플라이마(아달리무맙)가 있음.

회사는 내수시장 경쟁이 과열되는 시장상황에서 경쟁력 강화 및 시장 다변화 추진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진행, 2018년 1월 국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내용고형제 의약품 제조시설 cGMP 승인을 받은 데 이어, 2019년 2월 영국 의약품 건강제품 규제청(MHRA)으로부터 EU-GMP 승인을 받는 등 의약품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음.

회사는 청주공장 내 피하주사(SC) 제형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프리필드시린지(PFS) 생산라인을 준공 완료함으로써 당사는 케미컬 의약품에 이어 바이오의약품 생산 대응력을 겸비한 글로벌 제약회사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함.

모회사인 셀트리온이 그의 자회사(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를 통해2020년 11월 다국적 제약사 다케다제약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18개 '프라이머리 케어(Primary Care)' 제품 자산을 인수하여 이중 14개 제품에 대한 국내 판매를 당사가 담당하게 됨에 따라 인수 전 국내 판매를 담당했던 다케다제약 한국법인과 당사 간 허가권 변경절차가 완료되어 당사가 판매 중임.

매출은 케미컬의약품의 생산 및 판매와 바이오의약품의 판매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올해 1분기 약 888억 원을 달성함으로써 전년 동기 대비 약 3.7% 성장함.

HI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치료제를 포함한 6종의 글로벌 향 케미컬 의약품이 134억 원의 매출을 달성 함으로써 케미컬 의약품 부문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램시마, 허쥬마, 트룩시마 3종의 항체 바이오시밀러도 약 125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11% 성장함.

 

  나.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셀트리온제약은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은 고덱스, 제네릭(카피약) 등이며 매출액과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셀트리온제약-주요-제품-및-서비스-현황과-매출액
[셀트리온제약 주요 제품 및 매출액 현황]

 

  다. 기타 기업 정보

기업명 : 셀트리온제약
주식 종목코드 : 068760
대표자명 : 서정수
설립일 : 2000.11.17
직원수 : 822명
상장일 : 2006.02.03
시장 구분 : 코스닥
업종 : 완제 의약품 제조업
주요 상품 : 고덱스,기타,램시마,트룩시마,허쥬마 등 

 

반응형

 

2. 관련 테마

 

셀트리온제약은 복제약품 바이오시밀러 테마 관련주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백신과 치료제 관련주로도 부각을 받았습니다.

분류 테마 : 제약 및 바이오 테마, 바이오시밀러 
기타 테마 : 코로나 치료제(개발 중단), 코로나 백신 
바이오시밀러란?

제약회사가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면 개발과정에 투자하는 시간과 비용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특허권을 인정한다. 일반적으로 20년 정도의 특허기간이 지나면 다른 제약회사도 의약품의 주성분을 합성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처음 개발한 의약품을 오리지널(original)이라 하며, 특허가 만료된 의약품을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제조하여 만든 의약품을 복제약(generic drug)이라 한다. 의약품 중에는 화학적으로 합성하지 않고 항체와 같은 생물 의약품이 있는데, 이들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없어 세포에서 생산해야 한다.

이러한 생물 의약품 중에서 특허가 끝난 의약품은 제조회사에 따라 세포를 생산하는 조건과 단백질 의약품을 정제하는 방법이 달라 기존에 특허받은 회사의 단백질 의약품과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으므로 복제약이라 하지 않고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또는 바이오제네릭(biogeneric)이라 한다.

미국 식품의약품청에서는 인터체인지블 약품(interchangeable drug)이라고도 한다. 이때 처음 제약회사가 개발한 생물 의약품은 바이오시밀러의 참고 제품(reference product)이라 한다.

 

3. 기업 주요 재무 지표

 

셀트리온제약은 매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분기 실적은 다소 주춤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셀트리온제약-분기-재무-차트입니다.
[셀트리온제약 분기 재무 차트]
셀트리온제약-연간-재무-차트-입니다.
[셀트리온제약 연간 재무 차트]

매출액(억) : 3,987억 
영업이익(억) : 478억
당기순이익(억) : 346억
PER : 135.4
PBR : 13.79
ROE : 10.93
배당수익률(%) : 0.01%
유동비율(%) : 127.4%
부채비율(%) : 92.15%
이익잉여금(억) : 658억
자본잉여금(억) : 2,522억

 

4. 기업 주요 뉴스 키워드

 

긍정적, 부정적인 기사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제품군들이 향후 다양한 효능 영역으로 개발과 출시를 할 수 있을 거라 보입니다. 

2022.08.01 셀트리온제약, 알츠하이머 치매치료제 '도네리온패치' 국내 판매
2022.07.07 셀트리온제약, 상승세 보여, 올 2분기 호실적 전망 나와
2022.07.07 셀트리온제약, 간장질환용제 '고덱스 캡슐' 급여 삭제 위기...'이의신청'
2022.07.02 셀트리온제약, 주가 소폭 하락,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중단
2022.06.29 '코로나 치료제 접는다' 셀트리온 발표에도 외인은 매수 중... 왜?

 

5. 기업 주가 차트, 시세, 지분 현황

 

셀트리온제약 주식 보유 수량의 경우 외국인, 개인, 기관 순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70,000원 내외의 가격대는 과거 2020년 3~5월 경 외국인의 엄청난 매수가 있었던 매집 구간이기 때문에 강력한 지지 가격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셀트리온제약-일봉-차트입니다.
[셀트리온제약 일봉 차트]
셀트리온제약-월봉-차트-입니다.
[셀트리온제약 월봉 차트]

역사적 최고가 : 261,191원
역사적 최저가 : 3,280원
52주 최고가 : 170,295원
52주 최저가 : 72,200원
시가 총액 : 31,162억
발행 주식수 : 37,681,053주
유통 주식수 : 16,850,236주
유통 비율 : 44.7% 
최대주주 주식수 : 20,755,534주 
최대주주 지분율 : 55.08%

 

6.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 현황

 

* 해당사항 없음

 

7. 셀트리온제약 주가 목표가격

 

증권사별 목표 적정주가 정보 자료가 없습니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참고해보면 '매수' 의견이 다수이며, 최고점 대비 마이너스 67% 가량 떨어진 구간입니다. 과거 2018년~2019년에 주가 흐름을 보면 2년 간의 조정국면 후 1년간의 상승 패턴을 예측해 볼수 있습니다. 

 

2021년~2022년의 조정 국면이라 생각해 보면 2022년 상반기에는 악재보다는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제품군들의 개발과 판매로 인한 긍정적인 호재성 재료들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증권사별 적정주가 자료가 없음

 

8. 기타 주요 내용

 

셀트리온 3사 합병 이슈

2022년 내에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3사 합병 가시화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은 2020년 지주사를 설립하고 셀트리온 3사 합병을 추진 중임
셀트리온홀딩스(서정진 회장)가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3사를 지배하는 구조
계열사 간 거래가 많아서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는 부정적인 의견이 존재

※ 작성(수정) 기준일 : 2022.08.04 

※ 본 정보에 대한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투자권유가 아닌 점을 인지하시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니 주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